|
상기 추천인은 국방과학연구소 입소 이래 맡은 바 임무에 최선을 다하였으며, 특히 끊임없는 노력과 헌신적 근무 자세를 통해 세계수준의 K9 자주포개발을 비롯한 지상무기연구개발 능력을 세계 수준으로 발전시켰으며, 국방녹색성장 및 연구소 역량 선진화를 위해 아래와 같이 기여하였음. |
|
|
|
|
|
1. K9 자주포 개발(91. 10 ~ 99. 2) |
|
- 개요
세계 최고 수준의 K9 자주포를 국내 기술로 독자 연구 개발하여 전력화 성공을 통하여 국내 지상무기 개발 능력을 세계 수준으로 발전시키는데 기여하였음.
- 성과
* K9 자주포 개발 성공
세계 2번째로 개발 및 전력화
연구개발 사업 투자효과 분석 결과 1조 7천억원 (서울대/KIDA 공동분석)
- 기여내용
K9 자주포 개발 책임자로서 체계공학에 입각한 연구개발 프로세스 적용과 헌신적 노력으로 세계수준의 첨단 자주포를 적시에 개발하여 전력화함으로써 포병 전력 증강에 기여하였으며, 국방과학연구소의 지상무기 개발 수준을 세계수준으로 발전시키는데 기여하였음. |
|
|
|
2. K9 자주포 초도양산지원 및 수출(99.01 ~ 01.7) |
|
- 개요
K9 자주포의 안정적 양산을 위한 기술지원을 하여 서북도서 긴급배치 및 적기 전력화에 기여하였으며 국내 방산 사상 최대 규모의 터키 수출 성사를 통하 여 방산물자의 수출 활성화에 기여하였음.
- 성과
* K9 자주포 초도양산 및 전력화('99 ~ '01)
서북도서 긴급배치 및 최초운용능력확인(IOC)시험 기술지원
* K9 자주포 터키 수출 및 수출시장 확대
터키 2011년까지 10억불 규모 수출 계약(2000. 5 계약)
호주 수출 유력으로 제안서 평가 중, 이집트 수출 협상 중(2009년 현재 추진 중)
- 기여내용
* K9 초도생산 기술지원 사업책임자(1999년 ~ 2001년)로서 생산 안정화 및 개선요소 도출 반영 등을 통하여 군의 적기 전력화에 기여하였음.
* K9 자주포 터키 수출 기술평가단장(2000년~2001년)을 맡아 국내 방산 사상 최대 규모의 터키수출을 성사시킴으로써 국내 방산물자의 수출 활성화 및 신 성장 동력화에 크게 기여하였음 |
|
|
|
3. 한국형 다목적 헬기개발 추진(01.8 ~ 06.7) |
|
- 개요
한국형 다목적 헬기 개발계획수립, 개념형성 및 국책사업화에 기여하였음.
- 성과
* 한국형헬기 국책사업화 추진
다목적헬기 Task Force 팀장
국과연 다목적헬기 개발계획 및 사업수행방안 수립
다목적헬기 개념연구/탐색개발 주도형태 결정(정부주도) 노력
* 한국형헬기 개발계획 수립
다목적헬기 개략연구개발 계획 수립
다목적헬기 개략 탐색개발계획 수립
다목적헬기 참여 국내업체 제안서 검토/선정
* 한국형헬기 체계요구도 분석 연구
체계요구도 분석 연구 총괄
한국형헬기 운용개념(OMS/MP) 정립
국내외업체 협상대안 종합
체계요구도 분석내용 체계개발규격서 반영
- 기여내용
한국형헬기 개발 T/F팀 및 헬기개발단에 편성된 이후 한국형헬기(KMH/KHP) 국책사업화 추진 및 개발계획수립 등 사업 초창기에 개발 방향 정립, 운용개념 수립 등 향후 개발을 위한 기반 구축에 기여하였음. |
|
|
|
4. K11 복합형소총 개발 완료 및 수출추진(08.7 ~ 09.8) |
|
- 개요
K11 복합형소총의 성공적 개발 완료와 세계 유일의 무기체계인 K11을 수출하기 위하여 국내외 홍보 및 협조를 적극적으로 추진하였음.
- 성과
* K11 복합형소총 전투용 적합 판정 획득 및 사업기간 1개월 단축
* "K11 복합형소총 전력화 및 수출 지원 방안" 합참의장 보고('08.9.10)
* "K11 복합형소총 수출전략 및 지적 소유권 분쟁 대비 방안" 국방부장관 보고
* K11 복합형소총 개발완료보고회 실시('08.12.12)
* 국내외 주요 인사 대상 소개 및 시범사격 추진
국내 (국방부장관, 육군참모총장, 국회의원, 청와대 경호실 차장, 국방비서관, 기무사령관, 국방부 차관, 행안부 2차관, 방위사업청 차장, 등)
해외 (미 태평양물자사령부 과학기술고문, 미 공군 협력차관보, 리비아 육군 기술국 대표단)
* 해외전시회 실물 모형 전시를 통한 홍보 추진
리비아 LiBDEX 2008, UAE IDEX 2009, PACOM S&T 컨퍼런스 등
- 기여내용
순수 국내 기술로 세계 최초로 개발한 K11 복합형 소총의 우수성을 국내외에 소개함으로써 국내 방산 기술력의 세계적 위상을 높였음.
특히 대미 수출을 위 하여 '09 ADEX 행사시 미 FCT(Foreign Comparative Test) 팀 대상 시범사격 추진하는 등 대외 역할을 적극적으로 수행하였음. |
|
|
|
5. 국방 녹색기술 연구기획(08.7 ~ 09.8) |
|
- 개요
국방 녹색성장을 통한 신 성장동력 발굴 및 녹색강군 육성을 위해 국방 녹색 기술 연구기획 활동을 주도적으로 추진하였으며, 국방부 등 유관기관을 대상 으로 특강을 실시하여 국방녹색성장 공감대 형성 및 활성화에 크게 기여하였음.
- 성과
* 탈석유 정책기획 조사연구('08. 7∼'08. 12)
고유가에 대비한 탈석유 미래에너지 기반 무기체계(지상무기체계 분야)
조사연구 수행
* 국방 녹색성장 기술개발 백서 작성('09. 1∼'09. 2)
국방 14개 분야 연구동향 분석 및 녹색기술 개발방안 수립
국방 녹색성장 기술개발 백서 작성 (ADDR-115-090368, 2009.2)
* 국방 녹색기술 연구기획 TF 활동('09. 2∼'09. 8)
연구기획 TFT장으로 활동
국방 녹색기술 조사분석 및 세부 실행과제 발굴하여 핵심기술 기획서 반영.
* 녹색 민군 기술개발과제를 수행하는데 주도적으로 기여함(09. 2∼09. 8).
:녹색 기술개발과제인 '특수임무 차량용 고 기동 하이브리드 추진시스템
개발'(예산/기간 : 382억/09~14년)과제 창안 및 사업화 추진
* 국방 녹색기술 관련 세미나 및 특강 (09. 3∼09. 8)
09. 3.12 (청와대),'09. 5.6 (육군본부), 09. 5.27 (기무사), 09. 6.18 (교육사)
09. 6.24 (육군본부), '09. 7.7 (방진회), 09. 7.14 (국방부), 09. 8.11 (국방부)
* 논문작성(09. 4∼09. 5)
국방과 기술 5월호 : '녹색성장과 국방-I'원고 작성 및 검토
국방과 기술 6월호 : '녹색성장과 국방-II' 원고 작성 및 검토
- 기여내용
국방 녹색기술 조사분석, 세부 실행과제 발굴 및 핵심기술 기획서 반영 요구 등을 통해 중장기적인 국방 녹색기술 연구개발 추진방안을 수립하는데 기여 하였으며 국방 녹색기술 특강 및 논문 투고 등을 통해 국방 녹색성장의 필요성 및 추진전략에 대한 공감대 형성에 기여하였음. |
|
|
|
6. 연구소 역량 선진화(08.10 ~ 09.8) |
|
- 개요
본부의 미래를 대비한 연구방향 수립, 연구환경 조성 및 쇄신을 통하여 본부의 역할을 재정립하여 연구소 역량 선진화 계획 수립에 기여하였음.
- 성과
* 연구소 혁신위원회 위원 활동(2006년 ~ 2008년)
국방과학기술 아카데미 설립(안) 수립
* 5본부(지상/무인화 분야) 역량 선진화 계획 수립(2008년 ~ 2009년)
본부 역할 재정립, 본부역량 강화 방안, 국가과학기술 연계방안 등 수립
* 연구소 역량 선진화 방안 수립(2008년 ~ 2009년)
기술지주회사 설립(안) 수립을 위한 TFT 운영
국방과학기술 선진화 계획 수립 지원 및 검토
- 기여내용
미래를 대비한 인재 육성을 위하여 국방과학기술 아카데미 설립(안)을 수립 함으로써 '07. 7. 9 부 시행된 조직개선(안)에 "국방과학기술아카데미센터"를 설치하는데 기여하였음
5본부의 역할을 체계개발 중심에서 무인자율화, M&S, 녹색기술, 화생방 방호 등 핵심기술연구본부로 발전하는 선진화 방안 수립에 있어서 본부 역할 재정립에 따른 미래집중분야 선정 및 운영방안을 수립하고, 본부 연구 역량 강화를 위한 우수인력 확보 및 기초과학분야 인력대체방안, 시험장 확보 및 실험실 육성 등 인프라 강화방안을 수립하고, 국가과학기술과 연계 시키기 위한 분야 식별 및 연계방안 등을 수립하는데 기여하였음,
특히, 미래의 전투양상이 도시전/대테러전이 될 것에 대비하여 첨단 기술을 적용한 신개념무기체계 중심의 연구개발을 강조하여 미래전에 대비한 연구 개발 방향을 수립하였음 연구소 역량 선진화 방안과 관련하여 기술지주회사 설립(안) 수립을 위한 TFT를 구성하여 운영함으로써 국방 R&D 재원의 선순환 구조의 구축과 상호보완적 국방기술 발전방안을 수립하는 데 기여하였으며, 국방과학기술 선진화 계획(안)을 검토 및 지원 하였음. |
|
|
|
7. 국방 녹색기술 연구기획(08.7 ~ 09.8) |
|
- 개요
국방 녹색성장을 통한 신 성장동력 발굴 및 녹색강군 육성을 위해 국방 녹색 기술 연구기획 활동을 주도적으로 추진하였으며, 국방부 등 유관기관을 대상 으로 특강을 실시하여 국방녹색성장 공감대 형성 및 활성화에 크게 기여하였음.
- 성과
* 탈석유 정책기획 조사연구('08. 7∼'08. 12)
고유가에 대비한 탈석유 미래에너지 기반 무기체계(지상무기체계
분야) 조사연구 수행
* 국방 녹색성장 기술개발 백서 작성('09. 1∼'09. 2)
국방 14개 분야 연구동향 분석 및 녹색기술 개발방안 수립
국방 녹색성장 기술개발 백서 작성 (ADDR-115-090368, 2009.2)
* 국방 녹색기술 연구기획 TF 활동('09. 2∼'09. 8)
연구기획 TFT장으로 활동
국방 녹색기술 조사분석/세부과제 발굴하여 핵심기술 기획서에 반영.
* 녹색 민군기술 개발과제 수행에 주도적으로 기여함('09. 2∼'09. 8).
녹색 기술개발과제인 '특수임무 차량용 고기동 하이브리드 추진시스템
개발'(예산/기간 : 382억/'09~'14년)과제 창안 및 사업화 추진
* 국방 녹색기술 관련 세미나 및 특강 ('09. 3∼'09. 8)
'09. 3.12 (청와대), '09. 5.6 (육군본부), '09. 5.27 (기무사), '09. 6.18 (교육사), '09. 6.24 (육군본부), '09. 7.7 (방진회), '09. 7.14 (국방부), '09. 8.11 (국방부)
* 논문작성('09. 4∼'09. 5)
국방과 기술 5월호 : '녹색성장과 국방-I' 원고 작성 및 검토
국방과 기술 6월호 : '녹색성장과 국방-II' 원고 작성 및 검토'
- 기여내용
국방 녹색기술 조사분석, 세부 실행과제 발굴 및 핵심기술 기획서 반영
요구 등을 통해 중장기적인 국방 녹색기술 연구개발 추진방안을 수립하는데 기여하였으며 국방 녹색기술 특강 및 논문 투고 등을 통해 국방 녹색성장의 필요성 및 추진전략에 대한 공감대 형성에 기여하였음. |
|
|
|
8. 연구소 역량 선진화(08.10 ~ 09.8) |
|
- 개요
본부의 미래를 대비한 연구방향 수립, 연구환경 조성 및 쇄신을 통하여 본부의 역할을 재정립하여 연구소 역량 선진화 계획 수립에 기여하였음.
- 성과
* 연구소 혁신위원회 위원 활동(2006년 ~ 2008년)
국방과학기술 아카데미 설립(안) 수립
* 5본부(지상/무인화 분야) 역량 선진화 계획 수립(2008년 ~ 2009년)
본부역할/본부역량강화 방안 재정립, 국가과학기술 연계방안 등 수립
* 연구소 역량 선진화 방안 수립(2008년 ~ 2009년)
기술지주회사 설립(안) 수립을 위한 TFT 운영
국방과학기술 선진화 계획 수립 지원 및 검토
- 기여내용
미래를 대비한 인재 육성을 위하여 국방과학기술 아카데미 설립(안)을 수립함으로써 '07. 7. 9 부 시행된 조직개선(안)에 "국방과학기술 아카데미센터"를 설치하는데 기여하였음
5본부의 역할을 체계개발 중심에서 무인자율화, M&S, 녹색기술, 화생방 방호 등 핵심기술연구본부로 발전하는 선진화 방안 수립에 있어서 본부 역할 재정립에 따른 미래집중분야 선정 및 운영방안을 수립하고, 본부 연구 역량 강화를 위한 우수인력 확보 및 기초과학분야 인력대체 방안, 시험장 확보 및 실험실 육성 등 인프라 강화방안을 수립하고, 국가과학기술과 연계시키기 위한 분야 식별 및 연계방안 등을 수립하는데 기여하였음,
특히, 미래의 전투양상이 도시전/대테러전이 될 것에 대비하여 첨단 기술을 적용한 신개념무기체계 중심의 연구개발을 강조하여 미래전에 대비한 연구개발 방향을 수립하였음
연구소 역량 선진화 방안과 관련하여 기술지주회사 설립(안) 수립을 위한 TFT를 구성하여 운영함으로써 국방 R&D 재원의 선순환 구조의 구축과 상호보완적 국방기술 발전방안을 수립하는 데 기여하였으며, 국방과학기술 선진화 계획(안)을 검토 및 지원 하였음. |
|
|
|
이 력 서 |
성 명 : 김 동 수(金 東 洙) |
군 번 : 21206 |
임관일 : 76년 3월 26일 |
전 역 : 2003년9월 30일 |
주민등록번호 : 540617-1****** |
생년월일 : 54년 6월 17일생 |
주 소 : 대전시 유성구 관평동 대덕밸리APT 5단지 503동 1002호 |
전 화 :042-822-4759 |
국방과학연구소 본부장 |
|
학 력 |
|
72.3-76.3 |
육군사관학교 기계공학 학사 |
78.3-80.2 |
서울대학교 기계공학 학사 |
82.8.25-84.9 |
(미)해군대학원 운영분석학 석사 |
86.2-89.12 |
(미)캘리포니아대학교 박사 |
|
|
경 력 |
|
80.3-82.1 |
육군사관학교 교수부 기계공학과 강사 |
89.12-91.9 |
미 해군대학원(NPGS) 기계공학과 교수 |
94.1-99.2 |
국방과학연구소 1-자주포체계부 체계실장 |
99.3-01.7 |
국방과학연구소 1-자주포체계부 K9 터키 수출단장 |
01.8-06.7 |
국방과학연구소 헬기사업단 1부 부장 |
04.2-04.6 |
Southern Illinois University 교환교수 |
06.8-08.6 |
국방과학연구소 혁신위원회 위원 |
08.7- 09.8 |
국방과학연구소 제5기술연구본부 본부장 |
|
|
포상 및 저서 |
|
93. 12. 13 |
장관표창(국방부장관) |
95. 6. 1 |
공로상(국과연 소장) |
96. 8. 6 |
국방관리상 가상 (국과연 소장) |
98. 12. 31 |
보국훈장 삼일장 |
99. 12. 15 |
연구개발 장려 특1 (국방부장관) |
03. 10. 31 |
대통령 표창 |
03. 8. 6 |
국방과학상 은상 (국과연 소장) |
|
|
|
|
|
|
가 족 사 항 |
|
|
처 |
김종순 |
521107-2****** |
모 |
유선득 |
300426-2****** |
자 |
김상만 |
791021-1****** |
자 |
김상인 |
830921-1****** |
|
|
|
|
|
|
저서 및 역서 |
1. 저서 |
ㆍ새로운 세상을 위하여 (96.2.5)한줄기 출판사 |
ㆍ화려한 꾸밈 뒤의 이리를 경계하라 (2000.2.28) 21세기 군사 연구소 (부제 : 6.25 도발자는 누구였는가) |
ㆍ준비 없는 내일은 없다 (2002.7.15) |
ㆍ베트남과 한국군 (채명신장군, 박경석장군, 이선호 박사 등과 공저) |
ㆍ대군 통수에 대한 역사적 고찰 |
|
2. 옮김 |
ㆍ탄넨 베루의 섬멸전 -삼화출판사 |
ㆍ전투전사 상.중.하 -삼화출판사 |
ㆍ戰利란 이런 것이다 (81.11.30)서림출판사 |
ㆍ생활지도의 이론과 실제 -삼화출판사 |
ㆍ배반당한 베트남 혁명 (2002.11.10) 알파출판사 |
ㆍ군사를 알게되면 세계가 보인다 (2004.2.15) 알파출판사 |
ㆍ김정일의 숨겨진 전쟁 (2005.6.20 재판) 알파출판사 (김일성이 죽음과 대량 아사의 수수께끼를 푼다) |
|
|
|
|
|
|
|
|
|
|
|
|
|